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강화도호캉스
- 국내증시
- 도시가스정압기
- 라곰박사의소확행연구소
- 강화도아이랑
- 인천신점
- 홈술안주
- 아이랑가볼만한곳
- 맥주안주
- 솔직후기
- 편의점컵라면
- 청라데이트
- 호텔에버리치
- 천왕장군
- 솔직리뷰
- 아이들간식
- 혼술안주
- 영종도아이랑
- 라곰박사
- 여수여행필수코스
- 야식추천
- 떡볶이밀키트
- 에버리치호텔
- 노브랜드
- 소확행연구소
- 청라빵집
- 청라맛집
- 여수데이트코스
- 강화도여행
- 참피디추천
- Today
- Total
철피디의 라곰라이프(Lagom Life)
'개발’과 ‘계발’ 차이, 아직도 헷갈리시나요? 이제는 확실히 구분하세요! 본문
‘개발’과 ‘계발’, 같은 소리 다른 뜻 – 헷갈리는 당신에게 드리는 문해력 특강
안녕하세요. 철피디 입니다. 오늘은 우리말에서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대표적인 단어 한 쌍, 바로 ‘개발’과 ‘계발’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.
‘자기개발서’를 산다고요? 혹시 그 책은 당신의 능력을 “건설”해주나요, 아니면 “일깨워”주나요?
생각보다 이 질문은 아주 중요한 차이를 품고 있습니다.

1. '개발(開發)'은 밖으로 확장하는 힘 입니다.
‘개발’이라는 단어는 한자로 열 개(開), 쓸 발(發)을 사용합니다.
즉, 닫혀 있던 무언가를 열고, 새로운 가치를 끌어내는 활동을 뜻하죠.
▶ 예시를 볼까요?
- 신도시 개발, 앱 개발, 관광지 개발
- “서울 외곽 지역이 빠르게 개발되고 있다.”
- “AI 기술 개발이 기업의 성패를 좌우합니다.”
이처럼 ‘개발’은 주로 산업, 기술, 도시계획 등 물리적 변화를 동반하는 말입니다.
밖에서 보기에 눈에 띄는 변화죠.

2. '계발(啓發)'은 내면을 여는 힘입니다.
이번엔 ‘계발’입니다. 열 계(啓), 일어날 발(發)이라는 한자를 씁니다.
단어만 봐도 뭔가 조용히 마음의 문을 두드리는 느낌이 들지 않나요?
‘계발’은 어떤 능력을 깨우는 일, 즉 자기 안의 힘을 일깨우는 활동 입니다.
- 자기 계발, 창의력 계발, 인성 계발
- “매일 새벽 1시간씩 독서하는 것이 저의 자기 계발 입니다.”
- “아이들의 감수성을 계발 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합니다.”

⚠️ 자주 틀리는 표현, 이제는 바로잡으세요!
- ❌ 자기개발 → 자기계발
- ❌ 관광지 계발 → 관광지 개발
- ❌ 앱 계발 → 앱 개발
이런 표현들은 입에 익어서 쉽게 넘어가지만, 공식 문서나 자기소개서, 논문, 발표 자료 등에서는 매우 중요한 차이가 됩니다.
전문가로서의 인상이 달라지기도 하니까요.

◈ 외우는 팁
- ‘개발’은 밖으로 드러나는 변화 입니다. (도시, 기술, 공간 등)
- ‘계발’은 안에서 깨어나는 성장 입니다. (능력, 감성, 내면 등)
“밖은 개발, 안은 계발!”
이렇게만 외워도 90%는 틀리지 않습니다.

🪄 마무리하며
언어는 단순한 전달 도구를 넘어, 사람의 사유와 정체성을 드러내는 그릇 입니다.
비슷하게 들린다고 아무렇게나 쓰기보다, 그 안에 담긴 뉘앙스와 의미의 깊이를 이해하고 사용한다면,
당신의 문장은 더 단단해지고, 당신의 사고는 더 정교해질 것입니다.
지금 이 순간에도 스스로를 ‘계발’하며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,
이제부터는 '개발'과 '계발', 더 이상 헷갈리지 않으시겠죠?
#문해력강의 #자기계발 #올바른우리말 #헷갈리는단어 #국문학과교수 #자기개발틀린표현 #한글사랑 #국어상식